5G Cellular에 대한 안리쓰의 우위성
5G 상용화의 키 포인트
5G 규격의 책정이 진행되어 5G 기술을 사용한 제품 개발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습니다. 4G(LTE)와 비교하여 볼 때, 5G는 기존의 셀룰러 통신 분야뿐만 아니라 산업 기계 및 자동차 관련에 대한 응용도 검토되고 있으며, 대상 시장 범위가 더욱 확대될 것으로 전망됩니다. 이 페이지에서는 5G 기술의 이용에서 선행되고 있는 셀룰러 통신 분야의 상용화에 대한 키 포인트를 3G/4G(LTE)가 시작되었을 때의 상황에 비추어 시험 및 측정의 관점에서 살펴 보겠습니다.
현재 셀룰러 통신은 동일한 통신 규격으로 설계되어 있으면 다른 사업자가 개발한 제품이라도 전세계 어디를 가도 사용할 수 있으며, 소정의 성능을 발휘할 수 있도록 통신 사양의 규격화가 진행되어 있습니다. 3G에서 현재 5G에 이르기까지 3GPP(Thi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에서 이 표준 규격의 책정 작업이 계속 진행되고 있으며 앞으로도 상세 사양의 규격화가 진행되어 갑니다.
- 모바일 업계가 협력하여 완전한 5G 시스템 표준을 제때 제공합니다.
(3GPP 회원 공동 보도 자료— 안리쓰 뉴스 사이트)
“3GPP TSG #80 총회에서 Standalone (SA) Release 15 5G 사양의 완료를 승인했습니다. 2017년 12월 Non-standalone (NSA) 운영을 위한 5G NR 규격 공개 이후 5G 표준화의 또 다른 필수 단계가 성공적으로 마무리됐습니다.”
무선 통신에서는 규격에 따라 설계를 하는 것은 매우 중요합니다. 통신 규격을 벗어난 설계를 했다면 그 규격 외의 기기 자체가 제대로 통신이 안 될 뿐만 아니라, 최악의 경우 다른 기기의 통신에까지 악영향을 미치고 통신의 성능을 저하시키게 됩니다. 표준화의 이점은 규격에 따른 제품이라면 통신 장비를 만드는 쪽과, 구입하는 쪽 쌍방에게 판매, 적용이 용이하고 비용 면에서 장점이 있으며보급이 쉬워집니다.
규격에 따른 제품 설계 및 개발의 중요성과 장점은 통신기기 단품에 대해서만 말하는 것이 아닙니다. 통신기기 내부에서 사용되는 칩셋, 주변회로, 부품도 규격에 따른 설계를 할 필요가 있으며, 그렇게 함으로써 장점을 누릴 수 있습니다. 3G/4G(LTE)에서는 칩셋, 주변회로의 개발로 시작하여 그 후에 이를 사용한 기기 개발이 이루어졌습니다. 또한 통신부가 모듈화됨에 따라 기기 개발이 용이하게 되어, 통신기기 개발의 진입 장벽이 낮아져 더욱 다양한 기기가 상품화되는 흐름이 있었습니다. 따라서 5G에도 향후 이러한 흐름을 바탕으로 칩셋, 주변회로, 부품 등의 키 디바이스가 순차적으로 개발, 상품화되어 가리라 생각합니다. 이 과정에서 ‘개발 중인 통신기기, 칩셋, 주변회로, 부품 등이 규격대로 이루어지는지를 확인’하는 것이 키 포인트가 됩니다.
5G 시험의 주요 기술: 시그널링과 RF/프로토콜 시험
전술한 바와 같이 스마트 폰과 같은 통신 단말기에는 ‘칩셋’이라고 불리는 무선 통신에 관련된 주변 기능이 일체화된 집적회로, 필터와 안테나 등의 주변회로, 기타 부품이 탑재되어 있습니다. 칩셋 덕분에 단말기 개발자는 기지국과 연결하기 위한 명령 메시지의 교환 및 RF 신호 제어 등 자세한 내용을 의식하지 않고 스마트 폰 개발이 가능해지고 있습니다. 또한 대상이 되는 통신 방식에 특화된 주변회로, 부품을 사용하여 단말기 설계시 필요한 성능을 효율적으로 실현할 수 있습니다. 반대로 말하면, 칩셋 개발자는 복잡한 메시지 프로토콜과 그에 따른 RF 신호 제어가 제대로 이루어지도록 설계 검증해야 합니다. RF 주변회로 및 부품 개발자는 대상이 되는 통신의 RF 신호가 적절하게 처리되어 소정의 성능을 발휘할 수 있도록 설계하고 검증할 필요가 있습니다.
칩셋 개발을 예로 들면, 개발의 초기 단계에서는 메시지 프로토콜 부분과 RF 제어 부분은 개별적으로 개발하는 것도 가능하겠습니다만 최종적으로는 단일 칩셋으로 프로토콜부, RF 제어부를 통합하고, 게다가 Wireless에서 기지국과의 통신, 제어, 피제어가 제대로 이루어지는지를 검증하지 않으면 안 됩니다. 실험실에서 개발 중인 프리실리콘 단계의 회로를 실제 기지국에 연결할 수 없는 것은 물론, 5G 같은 최첨단 통신의 경우 기지국 자체가 아직 없기 때문에 기지국 등의 인프라 기기 제조업체와의 접속 시험(IoDT: Interoperability Development Test)을 실시하거나 기지국을 시뮬레이션할 수 있는 측정기를 사용한 시험이 필요합니다.
주변회로, 부품의 설계와 칩셋을 사용하여 모듈, 단말기, 통신기기를 설계하는 경우도 모든 부품을 조합했을 때 단말기 전체적으로 소정의 RF 성능을 발휘하고 있는지 검증이 필요합니다. 메시지 프로토콜에 대하여 3GPP에서 규정된 기능은 칩셋에서 구현되고 있습니다. 그러나 캐리어(carrier)에 따라 독자적인 서비스를 실시하고 있는 경우, 단말기의 애플리케이션 레벨에서의 메시지 프로토콜이 요구대로 되어 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해 그 캐리어에 채용되는 단말기에는 3GPP에서 규정되지 않은 특별한 프로토콜 시험이 요구되기도 합니다.
이와 같이 5G 칩셋, 주변회로, 부품의 개발, 이를 사용한 5G 단말기, 5G 통신 모듈, Automotive나 IoT 등의 분야에서 활용하기 위한 5G 관련 제품을 개발하는 경우 실제 통신 환경에 근접한 의사 기지국과 통신 제어된 상태(콜 프로세싱)에서의 동작, 성능 검증이 필수라고 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개발자에게는 RF, 프로토콜 쌍방에 있어서 올바르게 칩셋과 연결, 통신, 제어 가능하며, 메시지 분석 및 RF 성능을 평가할 수 있는 테스트 솔루션이 필수적입니다.
5G에 대한 안리쓰의 우위성
고객님의 5G 제품 개발, 순조롭습니까?
상품화의 모든 단계를 생각하면 안리쓰입니다
안리쓰의 이동통신용 측정기의 개발은 항상 고객의 제품 개발과 함께 있으며, 새로운 통신 표준의 등장에 맞춰 신속하게 측정 솔루션을 제공하여 왔습니다. W-CDMA 규격으로 세계적으로 표준화가 진행된 3G 시대부터는 전세계 고객에 대한 솔루션 제공에도 본격적으로 임하여 세계의 주요 칩셋 공급 업체, 통신 사업자, 단말기 제조업체와 협력하여 앞서 말한 RF, 프로토콜 검증을 위한 기지국 시뮬레이터 및 적합성 (conformance)테스트 시스템을 개발, 제공해 왔습니다. 또한 칩셋 개발, 단말기 개발, 애플리케이션 개발, 제조, 품질 보증, 인프라 정비 등의 각 단계에서 필요한 각종 기지국 시뮬레이터, 애플리케이션 개발용 테스터, 제조 라인용 테스터, RF/프로토콜 적합성 시험 시스템, 인프라 정비·유지보수용 휴대용 측정기 등 다양한 제품군에서 고객을 지원해 왔습니다. 3G/4G(LTE)에서 세계의 고객과 함께 쌓아온 그간의 경험은 5G에서의 측정 장비 개발에도 활용되고 있으며, 이미 주요 칩셋 공급 업체를 비롯한 많은 5G 관련 제품 개발 업체에 안리쓰 측정 솔루션이 채용되고 있습니다.
5G뿐만 아니라 빠르게 제품을 시장에 투입하려고 하는 경우, 자사의 개발 리소스를 검토하는 것은 물론 테스트 파트너 선택도 중요한 요소입니다. 5G 같은 최신 기술을 사용한 제품 개발의 경우, 외부에서 조달하는 테스트 리소스도 개발 중인 경우가 흔합니다. 시간과의 싸움인 신제품 개발 파트너 선정에서 가장 중요한 요소는 무엇입니까? 문제를 최소한으로 관리하고 고객이 세운 계획대로 개발하기 위해서는 어느 시점에서 어떤 테스트 리소스가 필요한 것인지를 밝혀내어 여러 조달처를 비교, 검토하고 3G/4G(LTE) 등 과거의 실적, 연속성 등을 감안하면서 파트너를 선정할 필요가 있습니다.
과거에 어떤 대응을 해 왔는지, 파트너 선택에는 충분한 검토가 필요합니다
안리쓰는 셀룰러 단말기 개발용 측정기 분야에서 고객의 개발 프로세스에 따른 테스트 솔루션을 제공하여 조기 상용화에 기여해 왔습니다. RF/프로토콜 시험뿐만 아니라 이후의 상품화 사이클에 필요한 측정 솔루션을 일관적이며지속적으로 제공하고 있으며, 이 분야의 솔루션 제공 및 고객 지원 능력은 이미 정평이 나 있습니다. 5G에 필요한 밀리파, 마이크로파 기술에 대해서도 1990년 인수한 미국의 계측기 제조업체인 Wiltron사의 기술이 면면히 계승되어 왔습니다. 안리쓰의 또 다른 강점은 신뢰할 수 있는 파트너로서 품질의 우수성과 일정 등 고객과의 약속을 굳게 지키는 성실함, 양질의 제품을 보장하는 당사의 신뢰성입니다.
5G 관련 제품의 개발을 계획하고 있는 고객은 최신 테크놀로지와 안리쓰의 테스트 솔루션으로 5G 시장의 개척자가 되어 주세요.
5G 계측 솔루션
안리쓰는 3G/4G(LTE)에서 이어지는 고객과의 폭넓은 Relationship을 바탕으로 개발된 테스트 솔루션을 적시에 제공하고 있습니다.
5G 테스트 플랫폼
Successful 5G Signalling and Strengthened 5G RF Measurement
이동통신시스템이 3G, 4G로 진화하는 가운데 안리쓰는 칩셋 공급 업체, 통신 모듈 공급 업체, 단말기 제조업체에 테스트 솔루션을 제공하여 왔습니다. 이 실적을 통해 고객의 제품을 평가하는 과정에서 시그널링과 RF 프로토콜 시험을 포함한 다양한 기술 및 노하우를 축적/습득해 왔습니다. 여기에서 습득한 기술 및 노하우야말로 안리쓰 제품의 기반이며 안리쓰의 강점입니다.
그리고 지금 바로 5G 칩셋 평가에서 이 안리쓰의 강점을 결집한 측정 솔루션: 무선 통신 테스트 스테이션 MT8000A (sub 6GHz 및 밀리미터 파 모두 지원)가 5G 칩셋 공급 업체를 비롯한 세계의 주요 고객에 채용되어 칩셋의 시그널링과 프로토콜 평가, 그리고 챔버를 사용한 OTA (Over The Air) 환경에서의 RF 성능 평가에 사용되고 있습니다.
5G 상품 개발을 고려하는 고객은 MT8000A를 채용함으로써 5G 상품 개발을 신속히 시작할 수 있습니다.
무선 통신 테스트 스테이션 MT8000A
RF 챔버 MA8171A
5G 시장을위한 안리쓰 포트폴리오
안리쓰는 MT8000A뿐만 아니라 다양한 5G 제품 및 측정 솔루션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RF 검증 |
사진 |
품명/해설 |
|
- Radio Communication Test Station MT8000A
MT8000A는 5G NR 칩셋, 통신 모듈, 스마트 폰 및 기타 무선 장비의 개발시 RF TRx 특성을 검증하기위한 것입니다. 또한 5G NR을 사용하여 새로운 어플리케이션을 연구하기위한 것입니다. RF 컨버터, OTA 챔버 등과 결합 된 mmWave TRP / EIRP 측정 및 빔 관리 테스트와 같은 RF 프로토콜 테스트를 위해 5G에서 사용하는 6GHz 이하의 웨이브 밴드를 지원합니다.
|
|
|
|
- 스펙트럼 애널라이저/시그널 애널라이저 MS2850A
5G NR (Sub-6 GHz, mmWave) 지원
MS2850A는 5G NR 칩셋, 통신 모듈, 스마트 폰 및 기타 무선 장비의 R & D에서 TRx 특성 검증를 지원합니다. 또한 5G NR을 사용하여 새로운 어플리케이션과 기지국을 연구하기위한 것입니다.
여기에는 9 kHz ~ 32 / 44.5 GHz의 주파수 범위와 1 GHz의 최대 분석 대역폭을 포함하는 광대역 FFT 분석을 사용하는 내장 벡터 신호 분석기가 포함됩니다. 고속의 대용량 디지타이저 기능과 옵션의 변조 분석 기능이 결합되어 R & D 및 제조 애플리케이션 모두에서 탁월한 비용 대비 성능을 갖춘 고성능 다기능 벤치 탑 신호 분석기를 제공합니다.
디지타이저 기능으로 수집 된 신호 데이터는 5G NR 제품의 R & D에 최적화 된 범용 신호 분석 도구를 사용하여 분석 할 수 있습니다.
- 분석 대역폭 1GHz에 대응하는 시그널 애널라이저(5G 측정 소프트웨어)
|
적합성 테스트 |
사진 |
품명/해설 |
|
- 5G NR Mobile Device Test Platform ME7834NR
ME7834NR은 5G NR 칩셋, 통신 모듈, 스마트 폰 및 기타 무선 장비의 Protocol Conformance Test (PCT) 및 Carrier Aggregation Test (CAT)를 수행하기위한 것입니다. 5G 단말기의 개발 및 품질 보증 및 시험소 인증 등에 사용됩니다. 이 제품은 5G NR SA 및 NSA 모드를 모두 지원하며 OTA 챔버 및 RF 컨버터와 함께 사용할 경우 Sub-6GHz에서 mmWave까지 3GPP에서 규정한 5G 통신 대역을 지원합니다. 기존 ME7834 시스템을 ME7834NR 사양으로 업그레이드하여 기존의 LTE / LTE-A / LTE-A Pro / W-CDMA 및 5G 프로토콜 테스트를 모두 지원할 수 있습니다.
|
|
- New Radio RF Conformance Test System ME7873NR
ME7873NR은 3GPP TS38.521에서 규정된 5G NR의 RF 시험에 대응하는 자동 시험 시스템입니다. 5G NR의 스탠드 얼론 모드(SA)/논스탠드 얼론 모드(NSA) 양쪽에 대한 대응을 계획하고 있습니다. 또한 5G용 OTA(CATR) 체임버와 조합함으로써 Sub-6GHz 대역뿐만 아니라 밀리미터파를 포함한 5G에서 사용되는 주파수 대역을 커버합니다. 측정 요건에 맞게 유연하게 시스템을 구성할 수 있습니다. 또한 LTE, LTE-Advanced(LTE-A), LTE-A Pro 및 기존의 W-CDMA의 RF 시험 및 사업자 도입 시험에 대응한 ME7873LA에서 5G 대응 시스템으로 업그레이드가 가능하며, 고객님의 필요 요건에 맞는 RF 시험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습니다.
|
안테나/부품 평가 |
사진 |
품명/해설 |
|
|
재료 특성 평가 |
사진 |
품명/해설 |
|
|
프로토콜 / 메시지 검증 |
사진 |
품명/해설 |
|
- Radio Communication Test Station MT8000A
MT8000A는 5G NR 칩셋, 통신 모듈, 스마트 폰 및 기타 무선 장비의 개발시 RF TRx 특성을 검증하기위한 장비입니다. 또한 5G NR을 사용하여 새로운 어플리케이션을 연구할 수 있습니다. 이 장비는 RF 컨버터, OTA 챔버 등과 결합 된 mmWave TRP / EIRP 측정 및 빔 관리 테스트와 같은 RF 프로토콜 테스트를 위해 5G에서 사용하는 sub-6GHz 이하의 웨이브 밴드를 지원합니다.
|
대량 생산을위한 무선 평가 |
사진 |
품명/해설 |
|
- Universal Wireless Test Set MT8870A
5G NR Sub-6GHz 및 IEEE 802.11be 지원 5G NR Sub-6GHz 및 IEEE 802.11be를 지원하는 스마트폰, 태블릿, 통신 모듈, IOT 장치 등의 대용량 제조 테스트 테스터(지원 LTE, NB-IoT, Cat-M, V2X, IEEE 8011b/g/a/n/ac/ax, Bluetooth 등)
|
|
- Universal Wireless Test Set MT8872A
MT8870A와 동일한 TRx 테스트 모듈을 수용하는 소형 무선 테스트 기기. 새로운 5G NR Sub-6 GHz 및 IEEE 802.11be 표준을 지원하는 무선 통신 장비(지원 LTE, NB-IoT, Cat-M, V2X, IEEE 8011b/g/a/n/ac/ax, 블루투스 등)를 제조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
통화 처리 / RF 평가 |
사진 |
품명/해설 |
|
- Radio Communication Test Station MT8000A
MT8000A는 5G NR 칩셋, 통신 모듈, 스마트 폰 및 기타 무선 장비의 개발시 RF TRx 특성을 평가하기위한 장비입니다. 또한 5G NR을 사용하여 새로운 어플리케이션을 연구할 수 있습니다. 이 장비는 컨버터, OTA 챔버 등과 결합 된 mmWave TRP / EIRP 측정 및 빔 관리 테스트와 같은 RF 프로토콜 테스트를 위해 5G에서 사용하는 sub-6GHz에서 mmWave까지의 웨이브 밴드를 지원합니다.
|
eCPRI / RoE 평가 |
사진 |
품명/해설 |
|
|
|
- BERTWave™ MP2110A
올인원 MP2110A는 5G 모바일 네트워크에서 사용되는 eCPRI / RoE 광 모듈의 BER 측정 및 아이 패턴 분석을 위해 설계되었습니다. 샘플링 오실로스코프는 eCPRI/RoE에 대한 CPRI를 포함하는 비트 전송률의 아이 패턴 분석을 위해 NRZ ~ 53-Gbaud PAM 신호를 지원합니다.
|
광 회선 평가 |
사진 |
품명/해설 |
|
|
RF측정(설치ㆍ보수) |
사진 |
품명/해설 |
|
- Field Master Pro MS2090A
Field Master Pro MS2090A RF 스펙트럼 분석기는 전 범위의 무선 기술에 대한 지원을 유지하면서 5G 필드 테스트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최고 성능의 핸드 헬드 테스트 및 측정 솔루션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