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선 인터페이스/디바이스

현재의 4G LTE (OFDMA) 네트워크에서는 자기 간섭 회피가 필요한데 이것은 엄격한 타이밍 기반의 접근이며, 이로 인해 높은 소비전력과 제어 평면 시그널링 자원의 상당한 낭비를 초래합니다. 현재 사용하고 있는 OFDM 을 대체할 수 있는 5G 의 간섭 저항 접속방식은 집중적인 평가를 받고 있습니다. 스펙트럼을 더욱 잘 활용하는 FBMC, UFMC, GFMD 와 같은 더욱 효율적인 직교방식은 앞으로 다가올 5G 접속 파형을 위한 우수한 후보들입니다. 일반적으로 직교 전송은 자기 간섭을 피할 수 있어 더 높은 시스템 용량으로 연결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작은 유상하중들의 빠른 접속 때문에 다른 사용자들에게 직교 자원을 할당하는 절차가 대규모의 시그널링을 필요로 하여 또 다른 지연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따라서 직교 접속에 대한 보완으로서 비직교 접속에 대한 지원도 고려되고 있습니다. 비직교 다중 접속 (NOMA) 과 스파스 코드 다중 접속 (SCMA) 등과 같은 예가 포함됩니다.
FBMC, Filter Bank Multi-Carrier
FBMC 는 잠재적인 5G 파형 후보로서 높은 관심을 얻고 있습니다. 이 변조방식은 많은 장점들을 제공합니다.
FBMC 는 CP-OFDM (4G 파형에 사용되는 주기적 전치 부호를 이용하는 OFDM) 과 유사한 점이 많이 있습니다. OFDM, FBMC 에서와 같이 전체 대역을 필터링하는 대신 각 부반송파를 개별적으로 필터링합니다. FBMC 는 주기적 전치 부호를 갖지 않으므로 매우 높은 수준의 스펙트럼 효율을 제공할 수 있습니다.
부반송파 필터는 매우 협대역이며 긴 필터 시간상수를 요구합니다. 전형적으로 시간상수는 기본 다중 반송파 심볼 길이의 4 배이며, 이로 인해 단일 심볼이 시간상 겹치게 됩니다. 직교성을 달성하기 위하여 오프셋 QAM 이 변조방식으로 사용되기 때문에 FBMC 는 복소평면에 대해 직교가 아닙니다.
UFMC, Universal Filtered Multi-Carrier
이 파형은 CP-OFDM 이 향상된 것으로 생각할 수 있습니다. FBMC 와 다른 것은 각 부반송파를 개별적으로 필터링하는 것이 아니라, UFMC 가 신호를 부분 대역 수로 나누어 필터링합니다.
비록 하나는 심볼 간의 간섭 방지를 향상시키는데 쓰일 수 있지만, UFMC 는 주기적 전치 부호를 사용할 필요가 없습니다.
GFDM, Generalized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GFDM 은 OFDM 과 유사한 점이 많은 유연한 다중 반송파 전송 기술입니다.
주요 차이점은 반송파들이 서로 직교가 아니라는 점입니다. GFDM 은 대역 외 에미션에 대한 제어를 더 잘 합니다. 이로써 PAPR (Peak to Average Power Ratio) 을 줄일 수 있습니다. 이 두 가지가 OFDM 기술의 주요 결점입니다.

(그림) 신파형 분석 환경
Massive MIMO
MIMO 는 기지국과 사용자 기기가 연결 효율을 높이기 위해 다중 안테나를 사용하는 LTE와 LTE-A 네트워크에 사용되고 있습니다. Massive MIMO 는 각 디바이스를 향해 국부적인 빔을 만드는 더 많은 수의 안테나들을 채용하고 있는 기지국 기술과 관련이 있습니다. 용량 이득이 막대한 만큼 이 기술에 동반된 기술적 도전 과제들도 많습니다.
Massive MIMO 는 예전에 주로 전자적으로 조종되는 레이더 시스템을 위해 개발된 위상 배열 안테나에서의 연구와 개발을 기반으로 하고 있습니다. 기본 개념은 이렇습니다. 저이득과 저지향성 안테나 어레이를 만든 다음, 각 안테나의 신호들 간의 위상 관계를 신중하게 관리함으로써 모든 서브 안테나로부터 나오는 합성신호가 전자적으로 조종 가능한 위상 시프터에 의해 제어되는 고이득의 지향성 빔을 만들게 됩니다. 이것은 각 사용자들에게 다수의 분리된 동시 데이터 경로를 합성할 수 있는 기능으로 인하여 Massive MIMO 에서 더 많은 데이터 용량으로 이끌 수 있을 것입니다.
Massive MIMO 의 기본 물리학 원칙은 이제 입증되고, 실험적 시스템이 구축되고 있습니다.
제품
- ME7838D – 변조 조건하에서의 uW/mmW 디바이스 특성에 대한 광대역 변조 'S' 파라미터
- MS2830A/MG3710A – 6 GHz 대역 이하의 파형 평가. uW 디바이스 성능과 외부 믹서 솔루션을 이용한 mmW 까지 측정
- Massive MIMO 및 커넥터 없는 장비의 OTA 측정 기술
Products
MS2830A
Spectrum Analyzer/Signal Analyzer
9 kHz - 3.6/6/13.5 GHz frequency
168 dB dynamic range
ME7838A/E/D
VectorStar Broadband VNA
70 kHz - 110, 125, 145 GHz
124 dB maximum Dynamic Range
ME7838A4
VectorStar Broadband VNA
4-Port 70 kHz - 110, 125 GHz
123 dB maximum Dynamic Range
MS4640B Series
VectorStar Family
70 kHz - 70 GHz frequency
142 dB maximum Dynamic Range
MS46522B
ShockLine 2 port VNA
50 kHz - 8.5, 20, 43.5 GHz
E-Band frequencies